chatGPT의 등장으로 구글이 코드 레드를 발동했다고 하죠. 그래서인지 발 빠르게 구글판 chatGPT인 바드(Bard)를 발표했습니다. 구글 ai 바드(Bard)와 chatGPT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구글 CEO 순다 피차이의 글을 바탕으로 설명드립니다.
목차
1. 구글 AI 바드(bard) 발표
구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챗GPT의 대항마 바드(bard)가 발표되었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구글 공식 블로그 주소를 포스팅 말미에 남겨놓을게요.) 사실 챗gpt를 개발한 MS 외에도 이미 굵직굵직한 기업들도 자체적인 AI 챗봇을 개발 중이었다고 하죠. 그런데 기습적으로 발표된 chatGPT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할 정도의 센세이션을 일으키자 조급해진 것으로 보입니다. 전 세계 1등 테크기업인 구글도 마찬가지였는데요.
현지시각으로 23년 2월 6일, 구글의 CEO 순다 피차이는 자사의 공식 블로그를 통해 AI챗봇 바드(bard)를 발표했습니다. 이 글에서 '순다 피차이'는 "구글의 Transformers 프로젝트와 논문들이 요즘 공개되기 시작한 AI 응용 프로그램의 기초"라며 AI의 원조는 구글이라는 것을 피력하고 있습니다.
※ 영어 원문 : In fact, our Transformer research project and our field-defining paper in 2017, as well as our important advances in diffusion models, are now the basis of many of the generative AI applications you're starting to see today.
(1) 구글 ai 챗봇 바드(bard) 소개
구글은 2년 전,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용 언어인 람다(LamDA)를 공개했는데요. 구글의 ai 챗봇 바드는 람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람다가 공개된 이후 현재까지 대화형 AI(챗봇) 서비스를 개발해 왔으며, 오늘 '신뢰할 수 있는 테스터'에게 바드를 공개했다고 합니다. 네, 그렇습니다. 실제 우리와 같은 일반인들에게 '바드(bard)'가 공개되려면 앞으로 몇 주 정도를 더 기다려야 합니다.
(2) chatGPT와의 차이점
구글 공식블로그에서 구글 ai 챗봇 바드에 대해 소개하면서, 아래와 같은 예시를 들고 있습니다.
▶ 바드 bard 예시 : NASA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에 대해 9살 어린이에게 쉽게 설명해 달라는 요구에 대한 대답
이에 대한 부연 설명으로 '바드'가 지식과 창의성을 결합한 신선하고 높은 품질의 응답을 할 수 있다고 했는데요. 저는 여기서 또다른 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바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2023년에 공개되었다는 점인데요. chatGPT가 2021년까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답변을 하고 있다는 점과 다르게, 구글 바드는 최근성을 갖추었다는 반증이 되겠습니다.
또한 바드는 적은 컴퓨터 성능으로도 더 많은 이용자에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외부 피드백과 내부 테스팅을 결합하여 계속해서 성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고도 전했습니다.
2. 구글 바드, 진짜가 나타났다.
순다 피차이가 AI챗봇에 대한 인간의 기대에 대해 예시로 든 사례가 흥미로운데요. 오늘날 사람들은 ai 챗봇에게 '피아노 건반은 몇개?' 같은 단순 정보를 물어보는 수준을 넘어, '피아노와 기타 중에 뭐가 더 배우기 쉬운지' 또는 '연습을 얼마나 해야 하는지' 같은 정성적인 답을 요구한다는 것입니다.
결국 ai챗봇은 단순히 1+1=2 같이 정답이 정해진 답이 아닌, 다향한 의견과 관점까지도 대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결국 인간의 질문(=검색)에서 보다 복잡한 정보와 다양한 관점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인데, 아마 전 세계에서 이러한 작업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곳은, 구글이 아닐까요?
이러한 AI 기능이 탑재된 구글 검색 서비스도 곧 출시된다고 합니다.(상기 이미지 참고)
3. 구글 바드, AI 윤리를 말하다
사실 구글의 AI 챗봇 기술이 chatGPT보다 떨어져서 발표가 늦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분명 아직 해결되지 않은, 혹은 사회적으로 합의되지 않은 영역이 있었을거에요. 그런데 chatGPT가 발표되었고, 테크는 물론이고 문화, 금융 등 사회 전반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것을 구글이 가만 두고 볼 수 는 없었을 것입니다.
이번 구글 바드 발표에도 이 부분에 대한 언급도 나오는데요.
구글은 이미 2018년도에 AI 원칙을 발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AI가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도록, 대담하고 책임감 있는 방식으로 변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구글의 AI 원칙(AI Principles)은 아래에서 간단하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더 세부적인 내용을 보고 싶으신 분은 위의 링크를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 구글 AI 원칙(AI Principles)
- 사회적으로 유익할 것
- 불공정한 편견을 만들거나 강화하지 않을 것
- 안전을 지향할 것
- 사람들에게 책임을 다할 것
- 프라이버시 디자인 원칙을 지킬 것
- 과학적 우수성에 대한 높은 기준을 유지할 것
이 외에도 구글이 AI를 설계 또는 배포하지 않을 네가지 분야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위의 (구글 AI 원칙) 링크를 참고하세요.
마지막으로 이번 구글 AI 바드를 발표한 구글의 공식 블로그 주소를 첨부합니다. 필요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chatGPT 유료 버전 가격 혜택 가입하는곳 총정리 (미국인만 가입 가능합니다)
chatGPT 유료 버전 가격 혜택 가입하는곳 총정리 (미국인만 가입 가능합니다)
논란과 화제의 중심에 있는 chatGPT. 드디어 chatGPT 유료화가 시작됩니다. 개발사가 밝힌 chatGPT 유료 버전 가격과 무료버전과의 차이점까지 알아봅니다. chatGPT 유료버전 대기명단에 이름 올리는 곳
real-info.kr
챗gpt 사용법, 바로가기 주소, An error occurred 오류 해결까지
챗gpt 사용법, 바로가기 주소, An error occurred 오류 해결까지
온 국민, 아니 전 세계인의 관심 챗gpt. 가입부터 사용까지 5초면 끝나는데 한번 사용해보고 싶지 않으세요? 방금 직접 가입하고 테스트해보았습니다. 전혀 어렵지 않아요. 챗gpt 사용법 한번 보시
real-info.kr
챗gpt, chatGPT 이용하여 한국어로 블로그 글좀 써달라고 해본 후기
챗gpt, chatGPT 이용하여 한국어로 블로그 글좀 써달라고 해본 후기
요즘 전 세계적으로 난리인 챗gpt. 그런데 아무래도 영어를 기반으로 학습된 AI라서 한국어로는 영어만큼의 효과가 안 나온다고 하는데요. 과연 그럴까요? chatGPT를 이용하여 한국어로 블로그를
real-info.kr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