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부수입 건강보험료 추가 징수 기준과 내용 쉬운정리 (소득월액 보험료)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현재 직장 건강보험에 가입된 직장인이더라도 추가 부수입이 있으면 추가로 건강보험료를 내야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많은 분들이 잘 모르시는 직장인 부수입 건강보험료 추가 징수 기준과 내용에 대해 정리해드릴테니, 꼭 대비하셔서 아까운 돈 더 내지 않으시기 바랍니다.

1. 직장인 부수입 건강보험료 추가징수

1.1. 직장가입자 소득월액보험료란

4대보험에 가입된 직장인이라면 보통 ‘직장 건강보험’을 냅니다. 직장 건강보험의 장점은 근로자인 나와 사업주가 건강보험료를 반반 나눠서 낸다는 점이죠. 이게 당연한 것 처럼 보이지만 직장을 떠나보면 얼마나 큰 혜택인지를 알게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직장 건강보험료를 내고 있는 직장인이라고 하더라도, 부수입이 일정액을 넘으면 추가로 건강보험료를 내야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것의 정식 명칭은 ‘직장가입자 소득월액보험료‘입니다. 생소하시죠? 이제부터 쉽게 설명 해 드리겠습니다.

1.2. 소득월액보험료 기준

소득월액보험료란 직장인이 월급을 받음으로써 내는 건강보험료 즉 ‘직장가입자 보수월액보험료’ 외에, 직장인 부수입이 기준금액 이상일 때 발생합니다.

소득월액보험료의 대상이 되는 기준 금액은 2천만원인데요. 2천만원 ‘초과’부터 발생하니 딱 2천만원까지는 괜찮고, 2천만원을 넘는 순간부다 소득월액보험료 대상이 됩니다. 이와같은 건강보험 소득월액보험료의 대상인 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자소득
  • 배당소득
  • 기타소득
  • 근로소득
  • 연금소득

이 중 이자소득, 배당소득, 기타소득의 경우 100%를 모두 잡으며, 근로소득 및 연금소득은 50%를 잡습니다. (단, 연금소득이라고 하더라도 공적연금소득은 100% 모두 반영합니다.)

1.3. 소득월액보험료 부담 대상

앞서 말씀드렸듯 직장 건강보험료(=보수월액보험료)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반씩 나누어 부담을 합니다. 하지만 보수(월급)외의 소득으로 ㅂ라생하는 소득월액보험료의 경우 근로자인 내가 100% 부담을 합니다.

1.4. 소득월액보험료 계산

소득월액보험료에 합산되는 소득에 대해 다음과 같은 계산식으로 계산됩니다.

직장인 부수입 건강보험료 1
직장인 부수입 건강보험료 1

2. 건강보험료 경감 및 면제 조건

추가로 필요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건강보험료 경감 및 면제가 되는 몇가지 사유에 대해 공유드리겠습니다.

2.1. 각종 경감 대상 및 경감률

  • 군인 : 보험료의 20퍼센트
  • 사업장 화재 등 : 보험료의 30퍼센트
  • 섬/벽지 : 보험료의 50퍼센트
  • 단, 경감 종류가 중복될 경우의 최대 경감률은 50퍼센트로 제한

2.2. 면제 사유

  1. 장기간 해외 체류시 건강보험료가 면제됩니다. 이때 장기간이라 함은 3개월 이상을 의미하는데요. 이때 사유가 ‘국외업무종사’로 인한 해외체류일 경우에는 이를 증빙할 수 있으면 1개월 이상부터 면제를 해줍니다. 단, 해외체류 사유로 인한 면제는 국내에 건강보험 피부양자가 없어야 가능합니다.
  2. 현역으로 군 복무중이거나 교도소에 수감 된 경우도 면제가 됩니다.

2.3. 장애인 등

장애의 정도가 심한 등록장애인 또는 6종류의 희귀난치성 질환자로 지정된 환자의 경우 장기요양보험료의 30%가 경감됩니다.

오늘은 직장인 부수입 건강보험료 추가징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본인이 직장인으로 직장 건강보험료 대상자인데, 위에서 설명한 부수입이 2천만원 이상 발생한다면 미리 대비하셔서 소득을 분배하는 방법을 고려해볼수도 있겠습니다. 사실 직장인이면서 부수입이 2천만원 이상이라면 종합소득세 이슈도 생기기 때문에 여러보로 고민을 해보셔야 합니다.

기회가 된다면 이 내용에 대해서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돈버는 포스팅

📌 난방비 아끼는법, 우리집 난방 방식 모르면 소용없어 (유량계 vs 열량계)

📌 연간 금융소득 확인방법 (2천만원 넘을때 안넘을때 모두)

📌 비트코인 반감기와 역사, 2024년 비트코인 전망 총정리